최휘영 장관 후보 딸, 네이버 美 자회사 취업과 영주권 획득… '아빠 찬스' 논란의 전말
최휘영 후보자 딸, 네이버 미국 자회사 취업… 시작된 논란
최휘영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후보자의 장녀가 대학 졸업 후 네이버의 미국 자회사에 취업한 사실이 드러나면서, '아빠 찬스' 논란이 불거졌습니다. 2016년 미국에서 대학을 졸업한 장녀는 같은 해 네이버 자회사에 입사했으며, 당시 이 회사의 등기이사들은 최 후보자와 함께 네이버에서 근무한 인물들이었습니다. 최 후보자는 네이버의 전신인 NHN의 대표를 거쳐 2015년까지 네이버 경영고문을 지냈습니다. 이러한 배경 때문에, 장녀의 취업 과정에 특혜가 있었던 것은 아닌지 의혹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3년 만의 영주권 획득, '아빠 찬스' 의혹 증폭
최 후보자의 장녀는 2019년 2월, 취업 3년 만에 미국 영주권을 취득했습니다. 이후 같은 해 12월에는 회사를 그만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러한 빠른 영주권 취득 과정 역시 '아빠 찬스'를 통해 이루어진 것이 아니냐는 의혹을 더욱 증폭시키고 있습니다. 배현진 의원은 “최 후보자가 네이버의 인적, 물적 자산을 활용해 이른바 ‘아빠 찬스’를 썼다면 공직의 기회는 사양함이 현명할 것”이라고 강하게 비판했습니다.
자녀 증여세 대납 의혹, 또 다른 쟁점 부상
최 후보자는 자녀 증여세 대납 의혹에도 휩싸였습니다. 국민의힘 김승수 의원실에 따르면, 최 후보자의 장녀는 최근 5년간 소득이 없는 상황에서 2021년 증여세 8331만 원을 납부했습니다. 현재는 미국에서 6000달러(약 830만 원)의 월세를 내며 맨션에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장남 역시 2021년 2억 2491만 원의 증여세를 납부했습니다. 이처럼 소득이 없는 자녀들이 거액의 증여세를 납부한 사실은 의혹을 더욱 깊게 만들고 있습니다.
무직 자녀의 고액 월세, 대납 의혹 추가
김 의원은 “소득이 없었는데도 3억 원 이상의 증여세를 자녀들이 자력으로 납부했다는 것은 어불성설”이라며 “무직인 상황에서 1년에 1억 원가량의 월세를 내는 것 또한 최 후보자가 대납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지적했습니다. 이러한 의혹들은 최 후보자의 공직 수행 능력에 대한 의구심을 불러일으키며, 향후 인사청문회 과정에서 주요 쟁점으로 다뤄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최 후보자 측의 입장
최 후보자 측은 자녀들이 적법하게 증여세를 납부했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청문회를 통해 설명하겠다는 입장이지만, 논란의 핵심 쟁점들에 대해 명확한 해명이 이루어질지는 미지수입니다. 국민들의 의혹을 해소하고, 공정한 검증을 위해서는 충분한 설명과 증거 제시가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논란의 향방과 전망
이번 논란은 최휘영 후보자의 공직 수행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아빠 찬스' 의혹과 자녀 증여세 대납 의혹은 국민들의 공분을 사기에 충분하며, 인사청문회 과정에서 더욱 구체적인 사실 관계가 밝혀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후보자의 해명과 추가적인 증거 제시 여부에 따라, 논란의 향방이 결정될 것입니다. 이번 사건은 공직 후보자의 자녀 관련 의혹이 얼마나 큰 파장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지 보여주는 사례가 될 것입니다.
핵심만 짚어보는 최휘영 후보자 딸 관련 논란
최휘영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후보자의 딸이 네이버 미국 자회사에 취업하고, 3년 만에 영주권을 취득한 과정에서 '아빠 찬스' 의혹이 제기되었습니다. 더불어 자녀 증여세 대납 의혹까지 더해지면서, 후보자의 공직 수행 능력에 대한 논란이 커지고 있습니다. 인사청문회에서 진실이 밝혀질지 귀추가 주목됩니다.
궁금증 해결: 자주 묻는 질문과 답변
Q.최휘영 후보자 딸의 네이버 취업 과정에 특혜가 있었나요?
A.현재까지는 '아빠 찬스' 의혹만 제기된 상태이며, 명확한 증거는 제시되지 않았습니다. 인사청문회에서 관련 내용에 대한 검증이 이루어질 예정입니다.
Q.자녀 증여세 대납 의혹의 핵심은 무엇인가요?
A.소득이 없는 자녀들이 거액의 증여세를 납부하고, 고액의 월세를 내는 상황을 최 후보자가 지원했다는 의혹입니다.
Q.인사청문회에서 무엇을 중점적으로 봐야 할까요?
A.후보자의 해명과 함께, 자녀의 취업 및 영주권 취득 과정, 증여세 납부 내역에 대한 구체적인 증거 제시 여부를 주목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