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홍준표, 관세 협상 비판: 'FTA 반대' vs '15% 협상 자화자찬'

티스토리블로그1220 2025. 8. 1. 12:07
반응형

홍준표, SNS 통해 관세 협상 비판

홍준표 전 대구시장이 미국과의 관세 협상에 대해 날카로운 비판을 제기했습니다그는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한미 FTA는 반대했으면서 관세 15% 협상은 자화자찬한다”고 언급하며, 현 정부의 정책에 대한 쓴소리를 아끼지 않았습니다. 그의 발언은 과거 한미 FTA 체결 당시의 상황과 현재의 관세 협상에 대한 상반된 입장을 비교하며, 일관성 없는 태도를 지적하는 것으로 풀이됩니다.

 

 

 

 

과거 한미 FTA 반대, 현재 관세 협상 비판

홍 전 시장은 2011년, 여당 대표 시절 한미 FTA 추진 당시 광우병 괴담을 언급하며 국민적 반대 여론을 조성했던 경험을 상기했습니다그는 “그때 관세 제로 정책인 한미 FTA는 반대했으면서 지금 관세 15% 협상은 자화자찬하고 있다”고 비판하며, 당시와 현재의 모순된 입장을 꼬집었습니다. 이는 정치적 입장에 따라 달라지는 태도를 비판하는 동시에, 정책 결정의 일관성을 강조하는 메시지로 해석됩니다.

 

 

 

 

미국산 소고기 수입 관련 언급

홍 전 시장은 미국산 소고기 수입과 관련해서도 날카로운 질문을 던졌습니다그는 “미국은 월령 30개월 넘는 소고기는 먹지 않나? 미국산 소고기 먹느니 청산가리 먹겠다던 개념 연예인은 어디 갔나?”라고 언급하며, 과거 광우병 파동 당시의 과장된 공포를 비판했습니다. 특히, 미국산 소고기 수입이 증가한 현실을 지적하며, 당시의 주장이 현실과 얼마나 괴리되었는지를 짚었습니다.

 

 

 

 

대통령실 발표와 야당의 반응

대통령실은 미국과의 관세 협상 결과를 발표하며, 상호 관세 15% 합의 및 한국산 자동차에 대한 미국의 관세 인하를 주요 내용으로 밝혔습니다. 또한, 반도체·의약품 등 품목별 관세에 대한 최혜국 대우와 국내 쌀, 소고기 시장 추가 개방 불가 방침을 발표했습니다. 이에 대해 더불어민주당은 긍정적으로 평가했지만, 국민의힘은 협상 시한에 쫓겨 양보가 많았다는 아쉬움을 표했습니다.

 

 

 

 

홍준표의 일관성 있는 비판

홍준표 전 시장은 지난해 일본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해양 방류와 관련해서도 비슷한 맥락의 비판을 한 바 있습니다그는 “광우병 괴담으로 나라를 온통 혼란으로 몰아넣고 책임지는 정치인이 한 명도 없었다”고 지적하며, 과거의 잘못된 정보로 인한 혼란을 비판했습니다. 이러한 일관성은 홍 전 시장이 특정 사안에 대한 자신의 입장을 굽히지 않고 소신을 밝히는 정치인임을 보여줍니다.

 

 

 

 

홍준표, 관세 협상 비판으로 정치적 메시지 전달

홍준표 전 대구시장은 이번 관세 협상 관련 비판을 통해 과거 한미 FTA 반대와 현재 관세 협상에 대한 모순을 지적했습니다. 그는 미국산 소고기 수입 문제를 언급하며 과거의 과장된 공포를 비판했고, 대통령실 발표에 대한 야당의 반응을 짚었습니다. 이러한 일련의 비판은 정치적 일관성과 정책 결정의 신중함을 강조하는 메시지로 해석됩니다.

 

 

 

 

자주 묻는 질문

Q.홍준표 전 시장이 비판하는 관세 협상의 핵심 내용은 무엇인가요?

A.홍준표 전 시장은 과거 한미 FTA 반대와 현재 관세 15% 협상에 대한 정부의 입장이 모순된다고 비판하며, 미국산 소고기 수입 문제와 관련하여 과거의 과장된 공포를 지적했습니다.

 

Q.대통령실은 이번 관세 협상에 대해 어떤 입장을 밝혔나요?

A.대통령실은 상호 관세 15% 합의, 한국산 자동차 관세 인하, 반도체·의약품 최혜국 대우, 국내 쌀·소고기 시장 추가 개방 불가 방침을 발표했습니다.

 

Q.야당인 국민의힘은 이번 관세 협상에 대해 어떻게 평가했나요?

A.국민의힘은 일본 및 EU와 동일 차원의 관세율 부담은 적절하다고 평가하면서도, 협상 시한에 쫓겨 많은 양보를 했다는 아쉬움을 표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