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억 시대, 광명 아파트 분양가 '무서운 경고'… 내 집 마련, 지금이 기회?
치솟는 분양가, 현실을 마주하다
부동산 시장은 정부의 정책·규제 영향을 크게 받는 시장이지만 결국 수요의 힘이 작동하기 마련입니다. 시장경제는 사람들이 각자의 목적을 위해 거래하는 과정에서 '보이지 않는 손', 즉 수요와 공급에 따른 가격 질서가 형성되기 때문입니다. 한경닷컴은 매주 수요일 '주간이집' 시리즈를 통해 아파트 종합 정보 플랫폼 호갱노노와 함께 수요자가 많이 찾는 아파트 단지의 동향을 포착해 전달합니다.
광명 '철산역자이', 15억 시대의 문을 열다
경기도 광명 아파트의 이른바 국민 평형(전용면적 84㎡) 분양가격이 15억원을 넘어섰습니다. 시장에서는 "분양가격이 하늘 높은 줄 모르고 치솟는다"는 푸념이 나옵니다. 24일 아파트 종합정보 앱(응용프로그램) 호갱노노에 따르면 이달 광명시에서 분양에 나서는 '철산역자이'가 9월 셋째 주(9월 15일~21일) 기준 4만1566명이 조회하며 방문자 수 1위를 기록했습니다. 광명12구역을 재개발해 선보이는 철산역자이는 지하 7층~지상 최고 29층 19개 동 총 2045가구로 조성됩니다. 이 가운데 조합원 물량을 제외한 전용 39~84㎡ 650가구가 이달 말 분양에 나섭니다.
충격적인 분양가, 과연 적정한가?
분양가는 최고가 기준 △전용 39㎡5억7400만원 △전용 49㎡7억9100만원 △전용 59㎡ 11억6800만원 △전용 74㎡ 13억6000만원 △전용 84㎡ 15억7600만원입니다. 유상 옵션과 발코니 확장 비용 등을 감안하면 전용 84㎡ 가격이 16억원마저 넘어서는 셈입니다. 시장에서는 분양가격이 예상보다 비싸다는 반응이 나옵니다. 한 지역 중개업소 관계자는 "불과 몇년 전에 서울 강동구 둔촌주공('올림픽파크포레온') 전용 84㎡ 분양가 13억원도 비싸다고 난리였지 않으냐"며 "광명뉴타운에서 손꼽히는 역세권 단지라는 강점은 있지만, 시장에서 예상하던 금액대보다는 확실히 높게 책정됐다"고 말했습니다.
과거 분양가와 비교, 상승폭은?
2023년 분양을 마치고 오는 11월 입주를 앞둔 '광명센트럴아이파크' 분양가는 최고가 기준 △전용 59㎡ 8억9900만원 △전용 75㎡ 10억9900만원 △전용 84㎡ 12억7200만원이었습니다. 지난해 1월 분양해 2027년 입주 예정인 '광명자이힐스테이트SK뷰'도 분양가는 최고가 기준 △전용 59㎡ 9억200만원 △전용 71㎡ 10억3900만원 △전용 84㎡ 12억3500만원으로 비슷한 수준이었습니다. 분양가격이 1년여 만에 3억원 안팎으로 오른 것입니다.
높은 분양가에도 긍정적인 전망?
기대치보다 높은 액수이지만 반응은 나쁘지 않습니다. 철산역을 중심으로 시청, 법원, 세무서 등 관공서가 몰려있기에 생활 인프라 이용이 편리하다는 입지적 강점이 있는 데다 분양가와 집값도 향후 더 오를 것이라는 기대감이 있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분양가는 '오늘이 가장 저렴하다'는 속설처럼 급등을 반복하고 있습니다.
3년 만에 43.2% 급증, 분양가 상승의 씁쓸한 현실
주택도시보증공사(HUG)에 따르면 지난달 수도권 민간 아파트 분양가는 ㎡당 평균 881만8000원, 평당 2915만원을 기록했습니다. 국민 평형 분양가는 10억원에 육박한다는 의미입니다. 2022년 8월만 하더라도 수도권 민간 아파트 분양가는 ㎡당 평균 615만4000원이었습니다. 불과 3년 만에 평균 분양가 상승률이 43.2%에 달합니다. 공사 기간을 감안하면 분양 당시에는 분양가격이 다소 높았던 아파트라도 입주 시점에서는 매우 저렴한 아파트로 거듭난 것입니다.
분양가 상승, 지금이 기회일까?
업계에서는 공사비 상승과 규제 강화로 인해 향후 분양가가 더 오를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입니다. '지금 비싸다'는 인식이 있지만, 결국 '오늘이 가장 저렴한 가격'이 될 수 있다는 무서운 경고가 맴돕니다. 내 집 마련을 망설이는 사이, 꿈은 더욱 멀어질지도 모릅니다.
자주 묻는 질문
Q.광명 철산역자이의 분양가는 왜 이렇게 높은가요?
A.높은 공사비, 입지적 강점, 주변 시세 상승 기대감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입니다.
Q.앞으로 분양가는 더 오를까요?
A.업계에서는 공사비 상승과 규제 강화로 인해 향후 분양가가 더 오를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Q.지금 집을 사는 것이 좋을까요, 기다리는 것이 좋을까요?
A.전문가들은 '내 집 마련'을 늦출수록 더 큰 비용을 지불해야 할 수 있다고 경고합니다. 신중한 판단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