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품, 이제 '소유'가 아닌 '경험'이다
최근, 명품 브랜드의 고가 제품 대신 10만원 안팎의 립밤, 쿠션 파운데이션 등 '저가 명품'을 구매하여 브랜드 경험을 극대화하는 소비 트렌드가 떠오르고 있습니다. 이는 단순히 제품을 구매하는 것을 넘어, 브랜드 로고를 활용하거나 재가공하는 '프로슈머'적 소비 행태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경기 불황 속에서, 소비자들은 자신만의 방식으로 명품을 즐기며 '가성비 럭셔리'를 추구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트렌드는 소셜 미디어를 통해 더욱 확산되며, 개성 있는 스타일을 추구하는 젊은 세대들에게 특히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5만원 립밤으로 95만원 목걸이를?
디올 뷰티의 어딕트 립 글로우 버터 제품은 이러한 트렌드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제품에 부착된 금속 ‘DIOR’ 로고 참을 분리하여 목걸이나 팔찌로 만들어 착용하는 소비자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이는 디올에서 실제로 판매 중인 95만원 상당의 ‘오블리크 펜던트 목걸이’와 유사한 효과를 줍니다. 5만원 립밤으로 95만원 목걸이의 스타일을 연출할 수 있다는 점은 소비자들에게 매력적으로 다가왔습니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에서는 이러한 DIY 과정을 담은 짧은 영상이 큰 화제를 모으며, '5만원 립밤으로 디올 목걸이 만들기' 릴스 콘텐츠는 289.6만 조회수를 기록하기도 했습니다.
프라다 쿠션, 디올 굿즈… 또 다른 '가성비 럭셔리' 사례들
프라다 리빌 메쉬 쿠션에 부착된 PRADA 로고를 활용하여 머리핀을 제작하는 사례도 등장했습니다. 10만8000원 쿠션의 금속 패치를 제거 후 머리핀에 부착하여, 78만원 상당의 프라다 메탈 헤어핀과 유사한 스타일을 연출하는 것입니다. 이처럼, 명품 브랜드의 로고가 명확하게 드러나면서도 비교적 저렴한 아이템을 구매하여 브랜드의 이미지를 체험하려는 소비자들이 늘고 있습니다. '피겨 여왕' 김연아가 전시회에서 굿즈로 판매하는 에코백 역시 7만원이라는 합리적인 가격으로 디올의 분위기를 즐길 수 있는 좋은 예시입니다.
소비의 새로운 패러다임: '프로슈머'와 '펀슈머'의 등장
이은희 인하대학교 소비자학과 교수는 이러한 현상에 대해, 소비자가 단순한 구매를 넘어 직접 활용하고 재창조하는 '프로슈머'적 성격을 띤다고 분석했습니다. 또한, 그 과정을 SNS에 공유하며 콘텐츠를 생산하는 '펀슈머' 소비자가 늘어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명품 브랜드의 로고나 상징성을 적극적으로 드러내는 모습은, 소비자들의 브랜드 경험을 더욱 풍성하게 만들고 있습니다. 이는 단순히 제품을 소비하는 것을 넘어, 자신만의 개성을 표현하고 즐거움을 추구하는 새로운 소비 트렌드를 보여줍니다.
가성비 럭셔리, 왜 뜨는가?
업계 관계자는 고가 제품 대신 소액 제품으로 명품 브랜드에 접근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고 분석하며, 이는 좀 더 가볍게 명품을 즐기려는 심리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경기 불황 속에서, 소비자들은 합리적인 가격으로 명품 브랜드의 가치를 경험하고, 자신만의 스타일을 창조하는 방법을 찾고 있습니다. 이러한 '가성비 럭셔리' 트렌드는 앞으로도 더욱 확산될 것으로 보이며, 명품 브랜드 역시 이러한 소비 트렌드에 맞춰 다양한 마케팅 전략을 펼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핵심만 콕!
5만원 립밤으로 95만원 목걸이 만들기, 프라다 쿠션 패치로 머리핀 제작 등 '가성비 럭셔리' 트렌드가 뜨겁습니다. 저가 명품 구매 후 로고를 활용하거나 재가공하는 '프로슈머'와, 이를 SNS에 공유하는 '펀슈머'의 등장, 불황 속 합리적인 소비를 추구하는 경향이 맞물린 결과입니다. 명품 브랜드는 이러한 트렌드에 맞춰 새로운 마케팅 전략을 모색할 것입니다.
궁금증 해결!
Q.왜 5만원 립밤으로 목걸이를 만드나요?
A.고가의 명품을 구매하는 대신, 5만원 립밤의 로고를 활용하여 95만원 상당의 목걸이와 유사한 스타일을 연출함으로써, '가성비 럭셔리'를 추구하는 소비 트렌드를 보여줍니다.
Q.프로슈머와 펀슈머는 무엇인가요?
A.'프로슈머'는 제품을 구매하고 활용하는 것을 넘어, 직접 재창조하는 소비자를 의미합니다. '펀슈머'는 이러한 과정을 SNS에 공유하며 콘텐츠를 생산하는 소비자를 뜻합니다.
Q.앞으로의 전망은?
A.'가성비 럭셔리' 트렌드는 더욱 확산될 것으로 보이며, 명품 브랜드는 이러한 소비 트렌드에 맞춰 다양한 마케팅 전략을 펼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태효 'VIP 격노설' 첫 인정: 채 상병 특검, 외압 의혹 수사 급물살? (1) | 2025.07.12 |
---|---|
한덕수 전 총리, '대통령 권한대행' 신분으로 압수수색 피했나?…진실 공방과 향후 수사 전망 (3) | 2025.07.12 |
김영철을 덮친 '마비성 장폐색', 맵고 짠 음식 조심! 여름철 건강 관리법 (1) | 2025.07.12 |
집값 '맛보기' 규제에 서울은 숨고르기, 강서·구로는 '기회'? (3) | 2025.07.12 |
2.9% 인상된 최저임금, 1만 320원… 노동계 반발과 총파업 예고 (2) | 2025.07.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