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부동산 규제 2

패닉바잉 멈춘 서울, 이재명 정부 부동산 정책, 문재인 정부와 다른 길을 갈 수 있을까?

6·27 부동산 대책, 시장에 급소를 날리다바로 다음 날부터였다. 급소를 쳤다. 이재명 정부 첫 부동산 대책을 두고 하는 말이다. 예고되거나 예측가능한 대책은 힘이 없다. 6·27 부동산 대책은 달랐다. 아무런 예고 없이 지난달 27일 발표된 대출 규제는 휴일인 28일부터 즉각 시행됐다. 시장은 순간 긴장했다. 2주가 지난 지금, 서울 집값의 상승폭은 둔화됐고 '패닉바잉'도 멈췄다. 그러나 국민들은 여전히 집값 '상승'에 무게를 두고 있다. 6·27 대책, 왜 나왔을까?6·27 대책이 발표되기 불과 일주일 전, 서울 아파트값은 6년 9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상승했다. 21주 연속 오름세를 이어가던 가운데 시장 과열 징후가 본격적으로 감지된 것이다. 실제로 6월 들어 수도권 주택 거래량은 전년 동..

이슈 2025.07.12

집값 '맛보기' 규제에 서울은 숨고르기, 강서·구로는 '기회'?

시들해진 서울 집값, '맛보기' 규제의 영향정부의 가계부채 감소 정책 발표 이후 서울 집값 상승세가 둔화되었습니다. 이재명 대통령은 해당 정책을 '맛보기'라고 표현하며 추가 규제를 시사했죠. 이는 고가 주택 밀집 지역인 한강 주변, 이른바 '한강 벨트' 단지의 거래 감소와 실거래가 하락으로 이어졌습니다. 규제 속에서 나타난 서울 외곽, 그리고 전셋값의 움직임규제 여파로 서울 외곽 지역의 집값 상승이 감지되고 있으며, 전세 공급 축소에 대한 불안감으로 전셋값 또한 상승 조짐을 보이고 있습니다. 한국부동산원 자료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가격은 23주 연속 상승했지만, 상승률은 둔화되었습니다. 강남3구의 하락, 강서구의 반등서울 25개 자치구 중 강남3구(서초·강남·송파)와 강동구의 상승폭이 축소되..

이슈 2025.07.1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