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노동법 3

알바도 2년이면 무기계약직? 초단기 근로자 노동권 강화, 득일까 실일까

초단기 근로자, 고용 안정 꿈꿀 수 있을까?정부가 1주일에 15시간 미만 근무하는 아르바이트생도 한 직장에서 2년 이상 근속하면 무기계약직으로 전환하는 제도를 추진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는 ‘초단시간 근로자’의 고용 안정성을 높이고 기본적인 노동권을 보장하려는 취지입니다. 공공부문에서는 주 15시간 미만 근로계약을 사실상 금지하는 방안도 함께 추진됩니다. 이는 그동안 노동 사각지대에 놓여 있던 초단시간 근로자들의 권익을 보호하려는 긍정적인 시도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정부의 노동 정책, 구체적인 내용국정기획위원회의 보고에 따르면, 정부는 올해 하반기부터 공공부문에서 주 15시간 이상 근로계약을 의무화할 계획입니다. 또한, 내년까지 실태조사와 의견 수렴을 거쳐 2년 이상 근무한 초단시간 근로자를 무기계..

이슈 2025.08.11

노란봉투법發 '이재용 나와라' 외침, 대한민국 기업 생태계 뒤흔들까?

노란봉투법, 무엇을 담고 있나?최근 논란의 중심에 선 노란봉투법(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2·3조 개정안)은 2014년 쌍용차 해고 노동자들을 돕기 위한 시민들의 모금에서 시작되었습니다. 손해배상으로 생계가 위협받는 근로자를 보호하려는 취지에서 출발했지만, 결과적으로 노동 3권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확대되었습니다. 당초 취지에 부합하는 법 개정은 보복성 손해배상 청구를 금지하고, 근로자의 귀책사유와 기여도에 따라 책임 범위를 정하도록 했습니다. 또한 불법 쟁의로 배상 의무가 생긴 노조와 조합원이 배상액 감면을 청구할 수 있도록 하는 조항을 포함합니다. 경영계의 우려, 단체교섭과 쟁의행위 범위 확대노란봉투법은 손해배상 청구 외에도 경영계가 우려하는 단체교섭 대상과 쟁의행위 범위를 대폭 확대했습니다. ..

이슈 2025.08.02

고용허가제의 덫: 이주노동자를 벼랑 끝으로 내모는 현실

끔찍한 현실: 폭력과 착취에 시달리는 이주노동자들최근 전남 나주에서 발생한 끔찍한 사건은 이주노동자들이 겪는 고통의 단면을 보여줍니다. 스리랑카 국적의 한 이주노동자가 지게차 화물에 결박된 채 조롱당하는 인권 유린 사건이 발생한 것입니다. 이는 단순히 한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고용허가제 하에서 만연한 이주노동자 인권 침해의 심각성을 드러냅니다. 참혹한 증언: 폭언, 폭행, 그리고 절망네팔 출신 A씨의 증언은 이주노동자들이 얼마나 열악한 환경에서 고통받는지 생생하게 보여줍니다. 그는 손 통증으로 인해 일을 더 이상 할 수 없었지만, 사장의 지속적인 괴롭힘과 폭언에 시달렸습니다. 심지어 사업장 변경을 요청하자 뜨거운 커피를 얼굴에 던지는 보복까지 당했습니다. 이러한 현실은 이주노동자들이 얼마나 취약한..

이슈 2025.07.26
반응형